전기가 어떻게 우리 집으로 들어오고,
어디로 가는지 한눈에 알아보자
◈ 목차
1. 배선도란 무엇일까?
2. 전기는 어디서 오는 걸까?
3. 가정용 배선도의 기본 구조
4. 콘센트와 스위치 연결은 어떻게 될까?
5. 전기 안전, 왜 중요할까?
6. 결론: 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규칙이 있어요!
1. 배선도란 무엇일까?
배선도는 말 그대로 전기선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그림 지도"예요.
우리가 책을 읽을 때 글자를 따라가듯이, 전기는 배선도를 따라 움직여요.
이 배선도 덕분에 전기 기구들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고, 고장 나도 어디를 고쳐야 할지 쉽게 알 수 있죠.

2. 전기는 어디서 오는 걸까?
우리 집에 들어오는 전기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져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전봇대와 전선을 통해 각 집으로 전달돼요.
그리고 우리 집 입구에 있는 분전함(또는 차단기 박스)으로 들어오게 되죠.
이 분전함은 전기의 "분기점" 역할을 해요.
자동차로 말하면 고속도로에서 나오는 여러 갈래의 길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3. 가정용 배선도의 기본 구조
가정용 배선도는 주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어요.

- 분전함 (차단기 박스)
- 집으로 들어온 전기가 처음 도착하는 곳이에요.
- 여기서 전기가 방마다, 또는 기기마다 나눠져요.
- 과부하가 생기면 자동으로 전기를 끊어주는 역할도 해요.
- 회로 (선로)
- 각 방으로 전기를 나눠주는 전기선이에요.
- 예를 들어, 거실, 부엌, 화장실에 각각 다른 회로가 있어요.
- 그래야 한쪽 전기만 꺼도 다른 쪽은 계속 쓸 수 있죠.
- 콘센트와 스위치
- 전기기기를 꽂는 콘센트와 불을 켜고 끄는 스위치도 회로에 연결돼 있어요.
- 스위치는 벽에 붙어 있는 버튼 같은 거고, 콘센트는 플러그를 꽂는 곳이에요.
- 접지선 (지선)누전이 일어났을 때, 전기가 땅으로 빠져나가게 해 주는 안전 장치예요.
- 우리 몸으로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보호해줘요.
4. 콘센트와 스위치 연결은 어떻게 될까?
전기는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이 있어요.
우리 집 전기에서는 주로 전선 3가지 색깔로 구분돼요.

- 흑색(또는 갈색) : 전기가 흐르는 선 (전선, L선)
- 백색(또는 청색) : 전기가 돌아가는 길 (중성선, N선)
- 녹색/노란색 줄무늬 : 접지선 (G선)
스위치는 보통 전선(L선)을 중간에서 끊어 전등이나 기기에 전기가 흐르도록 조절해요.
예를 들어, 전등 스위치를 켜면 전기가 지나가고, 끄면 끊기는 거예요.
5. 전기 안전, 왜 중요할까?
전기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친구지만, 잘못 다루면 위험한 존재예요.
그래서 전기를 사용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해요.
- 젖은 손으로 전기 제품 만지지 않기
- 콘센트에 물 닿지 않게 하기
- 전선이 벗겨지거나 끊어진 건 바로 교체하기
- 너무 많은 전기 제품을 한 콘센트에 꽂지 않기
특히 어린이는 전기 기기를 혼자 다루지 말고 어른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6. 결론: 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규칙이 있어요!
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집을 돌고 있어요.
그 흐름을 이해하면 고장 났을 때 당황하지 않고, 어떻게 해야 할지도 알 수 있어요.
배선도는 그런 전기의 길을 보여주는 지도로, 어른뿐 아니라 우리도 함께 이해해보면 좋아요!
전기와 친해지면, 집안의 기기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잘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전기 기술자처럼 똑똑한 눈으로 볼 수 있게 될 거예요
'전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단기(Breaker)의 종류와 기능 (2) | 2025.04.18 |
---|---|
전기 사용량 측정 방법 (전력계 이해) (3) | 2025.04.17 |
누전차단기의 역할과 설치 이유 (1) | 2025.04.16 |
전선 색깔별 의미와 역할 (3) | 2025.04.15 |
콘센트의 구조와 작동 원리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