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분야는 우리 삶과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술입니다.
전기를 다루는 기술자는 높은 수요와 안정적인 직업 환경으로 인해 꾸준히 각광받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전기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전기 관련 자격증들을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시험과목, 합격점수, 활용 분야까지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 목차
1. 전기 자격증이란?
2. 주요 전기 관련 자격증 종류
2-1. 전기기능사
2-2. 전기산업기사
2-3. 전기기사
2.4. 전기기능장
2.5. 전기기술사
3. 자격증별 시험과목 및 합격점수 비교 표
4. 자격증 취득 후 진로
5. 전기 자격증 취득 팁
6. 자주 묻는 질문 FAQ
1. 전기 자격증이란?
전기 자격증은 전기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설계·시공·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검증하는 국가 자격입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며, 산업현장 및 공공시설, 아파트 관리, 설계사무소, 전기 시공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합니다.
2. 주요 전기 관련 자격증 종류
2.1 전기기능사
- 응시 자격: 제한 없음
- 필기 과목: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 실기 과목: 배선작업
- 합격 기준: 필기/실기 각각 60점 이상
2.2 전기산업기사
- 응시 자격: 전문대 졸업 이상, 기능사 취득 + 실무경력 등
- 필기 과목: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 실기 과목: 전기설비 설계 및 관리 (작업형)
- 합격 기준: 필기/실기 각각 60점 이상
2.3 전기기사
- 응시 자격: 대졸 이상 또는 산업기사 + 경력
- 필기 과목: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 실기 과목: 전기설비 설계 및 관리 (필답형)
- 합격 기준: 필기/실기 각각 60점 이상
2.4 전기기능장
- 응시 자격:
- 전기기능사 취득 후 5년 이상 경력
- 산업기사 또는 기사 취득자도 일정 경력 충족 시 응시 가능
- 필기 과목: 전기응용, 전기설비 및 감리, 공정관리 등
- 실기 과목: 전기설비 분석 및 시공 계획(작업형)
- 합격 기준: 필기 60점 이상, 실기 60점 이상
- 활용 분야: 공장 및 대형 시설 전기공정 감독, 팀장급 실무 책임자, 직업훈련교사 등
TIP: 전기 분야에서 실무형 고급 인력으로 인정받는 자격입니다. 관리자급 승진에도 유리합니다.
2.5 전기기술사
- 응시 자격: 기사 취득 후 실무 4년 이상
- 필기 과목: 전기응용, 설계, 시공, 감리 등 (논술형)
- 면접 과목: 종합 기술지식 및 실무 능력
- 합격 기준: 필기 60점 이상 + 면접 적격
- 활용 분야: 전기설계 책임자, 감리총괄, 기술사 사무소 개설 등
3. 자격증별 시험과목 및 합격점수 비교 표
자격증 필기 과목 수 실기 유형 합격 기준 주요 활용
전기기능사 | 3과목 | 작업형 | 필기·실기 각 60점 이상 | 입문자, 아파트, 현장 |
전기산업기사 | 5과목 | 작업형 | 필기·실기 각 60점 이상 | 중소기업, 안전관리자 |
전기기사 | 5과목 | 필답형 | 필기·실기 각 60점 이상 | 대기업, 공기업 |
전기기능장 | 종합형 | 작업형 | 필기·실기 각 60점 이상 | 공정관리, 팀장 |
전기기술사 | 논술형 | 면접 포함 | 필기 60점 이상 + 면접 적격 | 감리, 설계총괄 |
4. 자격증 취득 후 진로
- 공기업: 한국전력, 전기안전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 설계/감리 분야: 기사 이상은 전기설계 및 감리 책임자로 활동 가능
- 현장 책임자: 기능장 이상 보유자는 팀장급 또는 감독관 승진 가능
- 프리랜서/기술사무소 운영: 기술사 취득 시 가능
5. 전기 자격증 취득 팁
- 기출문제 집중: 필기는 반복이 핵심입니다.
- 실기는 실습이 답: 실기 작업형은 손에 익힐수록 유리
- 스터디 & 온라인 강의: 계산 문제나 법령 부분은 함께 공부하거나 인강 활용
- 합격자 후기 참고: 유튜브, 블로그 등에서 실전 팁 얻기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 중 어떤 게 더 좋은가요?
A. 둘 다 중요하지만, 전기기사는 ‘설계 및 유지관리’ 중심, 전기공사기사는 ‘시공’ 중심입니다.
취업 분야에 따라 선택하세요.
Q2. 전기기술사는 꼭 따야 하나요?
A. 반드시는 아니지만, 기술사 취득 시 연봉 및 위상, 독립 창업 면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
Q3. 비전공자도 도전 가능할까요?
A. 네, 기능사부터 차근차근 준비하면 전기기사까지 충분히 가능합니다.
'전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전기 때문에 발생한 실제 화재 사고들 (23) | 2025.05.09 |
---|---|
멀티탭 과사용이 불러오는 전기 재앙 (14) | 2025.05.08 |
누전 차단기 작동 원리와 고장 시 대처법 (9) | 2025.05.06 |
정전 시 행동 요령과 복구 팁 (30) | 2025.05.05 |
콘센트에서 탄 냄새가 날 때 대처법 (18) | 2025.05.04 |